유형선택

아래 항목에서 적합한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인물
최소 100자 ~ 최대 3,000자 이내로 작성해 주세요.

생몰년:

1158년 ~ 1210년


개요:

지눌은 고려 시대에 활동한 승려로 1158년에 태어나 1210년에 입적하였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지눌은 고려 후기인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초반에 황해북도에서 출가해 결사운동을 전개하며 불교 혁신을 이끌었다.


사상 및 철학:

그는 교선일치의 이상 아래 ‘정혜쌍수’와 ‘간화선’을 강조하여 한국 조계종의 사상적 뿌리를 마련하였다.


이칭:

보조국사 불일보조 지눌보조 목우자 보조 지눌 보조 보조지눌선사 Jinwool 보조선사 감로


참고정보:

Numinous awareness is never dark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6; 권수정혜결사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생애:

지눌(1158-1210)은 고려 중기의 뛰어난 승려로 불교의 중흥과 사상적 통합에 기여한 인물이었다. 본명은 불일이며 어릴 적부터 학문과 수행에 열중하였다. 20세의 나이로 출가하여 다양한 불교 서적을 탐독하며 깊은 통찰력을 쌓아갔다. 당시 불교계는 교파 간 갈등과 부패로 혼란스러웠는데 지눌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182년에 깨달음과 수행을 통해 심신을 연마하는 정혜결사를 주도하여 개혁을 시작했다. 송광산에 길지산파를 창설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으며 불교 사상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대승기신론소'와 '법성게절요'를 저술하여 교리의 깊이를 더했다. 그의 가르침은 선과 교의 조화를 추구한 것으로 마음의 본성을 찾는 과정에서 수행이 필수임을 강조하였다. 지눌의 노력은 고려 후기 불교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업적:

한국 조계종의 사상적 뿌리를 형성한 교선일치의 이상 강조

#태그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