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학력고사는 과거 대한민국에서 대학 입학을 위한 주요 평가 도구로 사용되던 시험이다. 주로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나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설명
학력고사는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전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시험으로, 학생들의 고등학교 동안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시험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다양한 과목에 걸쳐서 치러졌으며, 각 과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대학 입학의 주요 기준으로 활용되었다. 1993년까지 실시되었으며, 이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도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용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에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 입시를 위해 학력고사 준비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관련 지표 또는 개념
대학수학능력시험, 수시모집, 정시모집
적용 분야
교육, 대학 입시
관련 기관 또는 규제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칭
없음
출처
대한민국 교육부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