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542년 ~ 1607년
개요: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성리학자로 1542년에 태어나 1607년에 세상을 떠났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중기 16세기에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태어나 임진왜란 때 영의정으로서 국가 위기 극복에 앞장선 정치가였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유교적 국정 운영을 지향하며 현실적 문제 해결을 중시하는 경세치용의 실천적 사상을 강조하였다.
이칭:
Ryu Seongryong 柳 류성용 이견 유성용 류성룡 서애
참고정보:
류성룡의 말 (소울메이트) 2015 한국문학번역원(LTI) https://library.ltikorea.or.kr/writer/410469 징비록 (현암사) 2007 (국역) 류성룡 시 (서애선생기념사업회) 2011
생애:
유성룡은 조선 중기의 뛰어난 정치가이자 학자로 1542년 경상도 의성에서 태어났다. 유년 시절에는 유교 경전에 심취하여 학문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보였으며 성균관에서 수학하면서 당대의 유학자로서 그 명성을 쌓았다. 선조(宣祖) 연간에는 문과에 급제하며 조정에 진출했으며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젊은 나이에 3사 기능을 두루 거치며 다양한 정치적 경험을 쌓았다. 이순신 장군과의 협력을 통해 임진왜란시 조선을 구하기 위한 여러 전략을 구사하여 국난 극복에 기여하였고 국방 체제를 새롭게 정립하는 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백성들의 안정을 위해 토지 개혁 등 사회적 개혁을 추진했으며 학문 연구에 힘써 방대한 저술을 남김으로써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1607년 남긴 발자취 속에서 긴 여정을 마무리하고 운명했다.
대표업적:
임진왜란 시기의 국가 위기 극복을 위한 활약과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유교적 사상의 지향이 유성룡의 대표업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