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895-1968
개요:
이정립은 1895년에 태어나 1968년에 사망한 한국의 종교인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정확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전라남도 신안군 삼산면을 무대로 종교적 실천과 지역 사회 봉사에 힘쓴 인물이다.
사상 및 철학:
신앙을 통해 신성과 인간성의 관계를 성찰하며 종교적 가치를 삶 속에서 구현하고자 했다.
이칭:
李
참고정보:
神聖의 끝 人性의 시작 (하이미디어P&I) 2013
생애:
이정립은 1895년 대한제국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는 동안 그는 민족의 독립을 꿈꾸며 청년 시절부터 독립운동에 몸을 담았다. 일본 도쿄로 건너가 유학생들을 모아 비밀결사를 조직 항일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상하이로 탈출하여 임시정부와의 접촉을 시도했다. 1945년 해방 이후 고국으로 돌아와 정치에 참여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기여하였다. 능력 있는 외교관으로서 잔존하는 국제 문맹 퇴치 문제에 대한 관심도 놓치지 않았고 국내 교육의 저변 확대를 위해 힘썼다. 1968년 그는 자신의 고향에서 조용히 생을 마감하였으나 그의 헌신은 추후 한국 근현대사 연구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다. 이정립의 삶은 조국을 위해 타협하지 않은 불굴의 의지를 상징하는 한 페이지로 남아있다.
대표업적:
신앙을 통해 신성과 인간성의 관계를 성찰하고 종교적 가치를 삶 속에서 구현하고자 한 점이 두드러지는 종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