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788-1853
개요:
김경선은 1788년에 태어나 1853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판의금부사를 지내는 등 문관으로서 활동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 중국 사행에 참여하며 견문을 기록으로 남긴 한문학자로 연행록을 통해 조선과 청의 문화 교류에 힘썼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을 토대로 한문학을 연마하면서도 해외 경험을 바탕으로 실용적 지식을 중시하는 현실적 태도를 보였다.
이칭:
정문 여행
참고정보:
다음 인물백과 http://100.daum.net/book/651/list 연행록선집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2-1984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생애:
김경선은 1788년 조선 후기 서울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 한학 공부에 전념하여 학문적 기초를 다졌고 20대 초반에는 과거 시험에 장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그는 뛰어난 정치적 역량과 청렴한 성품으로 주목받으며 현종과 철종 시기에 걸쳐 여러 중요한 행정 관직을 맡았다. 서울 북촌에서 자란 김경선은 개혁적 사고로 유명했으며 특히 농업을 개선하고 백성의 삶을 더 윤택하게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그는 농학서를 집필하여 농업 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했으며 그의 서적은 농부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다. 김경선은 근면함과 결단력으로 많은 존경을 받았으며 각종 사회 개혁에도 앞장서 조선 사회의 발전에 기여했다. 1853년 평안하게 숨을 거두었으나 그의 업적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었고 사후에도 그의 정신은 후대에 전해져 존경받는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대표업적:
연행록을 통해 조선과 청의 문화 교류를 이끌어내며 성리학과 실용적 지식을 결합한 문학활동을 펼친 인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