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선택

아래 항목에서 적합한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인물
최소 100자 ~ 최대 3,000자 이내로 작성해 주세요.

생몰년:

1736년 출생 1806년 사망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 사상가이자 문신으로 조정에서 문관으로 활동하였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 조선 후기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궁중과 사대부가의 자료를 모아 역사서 편찬에 몰두하였다.


사상 및 철학:

실학적 문제의식에 따라 사회에 유용한 기술·과학 지식을 역사 기록과 접목해 후세에 전달하고자 했다.


이칭:

장경 완산 Lee Geungik 李 연려실


참고정보:

연려실기술 (금성출판사) 1996


생애:

이긍익은 1736년 조선 후기 경기도의 한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총명하고 학문에 대한 열정이 남달라 유학과 예술에 두루 능통하였다. 스무 살 무렵 그는 한양으로 올라가 정약용 등과 교류하며 지식인으로서의 기본을 다졌다. 당시 조선은 정조의 개혁정치가 한창이었고 이긍익은 이를 적극 지지하며 여러 정책 수립에 참여했다. 그는 특히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지방과 계층 간 교육 격차 해소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그는 한글 문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으며 뛰어난 한시를 남기기도 했다. 하지만 1806년 그의 사망과 함께 아쉬움 속에 그가 남긴 교육과 개혁의 유산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생애는 조선 후기의 정치와 문화의 방향성을 제시한 중요한 시기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업적: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 조선 후기에서 궁중과 사대부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역사 서적을 저술한 실학자

#태그 형식으로 작성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