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792년에 태어나 1868년에 세상을 떠났다
개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19세기 조선 후기 경기도 양평에서 활동하며 외세의 침입에 맞서 전통 유학 질서 수호를 주장한 학자이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과 위정척사 사상을 토대로 국가 자주성과 유교적 도덕 질서의 유지를 강조하였다.
이칭:
이술 문경 화서 이광로
참고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생애:
이항로는 1792년에 조선의 한 가난한 서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학문을 통한 사회 개혁을 꿈꾸며 젊은 시절 먼저 유학을 공부하고 이후 성리학의 대가로 성장했다. 이항로는 시골 마을의 훈장으로 시작해 그 성실함과 지혜로 인해 왕실에까지 출입하며 조정의 신임을 얻었다. 그의 학문적 성과는 당시의 정치 및 사회 체제를 비판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다수의 제자를 양성하여 후학들에게 진정한 가르침의 의미를 전했고 그의 가르침은 개화기의 조선에서의 지식 전파의 초석이 되었다. 사회적 부조리를 비판하며 이상적인 사회의 실현을 위해 힘썼던 이항로는 강직한 성품과 민중에 대한 깊은 애정으로 존경을 받았다. 1868년 그의 삶은 마쳤으나 그가 남긴 사상과 가르침은 이후 세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덕망 높은 학자로 오늘날 기억되고 있다.
대표업적:
국가 자주성과 유교적 도덕 질서의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