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149년 ~ 1219년
개요:
최충헌은 1149년에 태어나 1219년에 사망한 고려 중기의 대표적 무신으로 무관으로 활약하며 역사 속에서 위인으로 평가받는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12세기 말 무신란으로 흔들리던 고려 왕실을 배경으로 1196년에 정권을 장악해 1219년까지 무신 정권을 이끈 정치 지도자이다.
사상 및 철학: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중앙집권을 강화하고 왕권을 보호하려는 현실주의적 정치관을 추구하였다.
이칭:
경성
참고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최충헌과 무신 정권 (금성출판사) 2016
생애:
최충헌은 1149년 고려 시대에 태어나 1219년에 세상을 떠날 때까지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고려는 당시 외교적으로 격변하는 시기에 있었고 최충헌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치가로 성장했다. 그는 문신 가문 출신으로 뛰어난 학문적 소양을 바탕으로 궁정에서 중책을 맡게 되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외세와의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며 국력을 안정화시켰다. 최충헌은 국내외에서 군사 구조를 재편성하여 군력을 강화하고 백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러 사회 개혁도 단행하였다. 그의 지도 아래 사회는 질서가 정립되었고 문화적으로도 찬란한 발전을 이루었다. 최충헌은 비록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개혁적 활동과 안정적 통치 덕분에 고려는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대표업적:
고려 중기 무신 최충헌은 중앙집권을 강화하고 왕권을 수호하는 현실주의적 정치관을 추구하며 무신 정권을 성공적으로 이끈 인물로 평가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