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정보 보안 체계는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 절차 및 기술적 조치를 의미합니다.
설명:
정보 보안 체계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정보는 개인의 사생활부터 기업의 기밀 자료, 국가의 안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자산으로 간주됩니다. 정보 보안 체계는 이러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방어 메커니즘으로,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정보를 안전하게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정보 보안 체계는 크게 물리적 보안, 기술적 보안, 관리적 보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리적 보안은 데이터 센터와 같은 시설의 접근을 통제하고, 기술적 보안은 방화벽, 암호화, 침입 탐지 시스템 등을 통해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보호하며, 관리적 보안은 보안 정책 수립, 직원 교육, 보안 감사 등을 포함합니다. 정보 보안 체계는 정보 유출, 데이터 손실, 사이버 공격 등의 위협을 예방하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하고, 무결성을 보장하며,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는 가용성을 확보합니다.
적용 사례 또는 판례:
대형 금융 기관의 정보 보안 체계 구축 사례로, 고객 데이터 보호를 위한 다층 보안 시스템을 도입한 사례가 있습니다.
관련 법령/조항: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 보호법
관련 개념:
사이버 보안, 개인정보 보호, 네트워크 보안
소관 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이칭(alias):
정보 보호 체계
참고 문헌:
정보 보안 관리 개론, 정보보호학회 논문
표준명:
ISO/IEC 27001
표준 번호:
ISO/IEC 27001:2013
제정 기관: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표준 유형: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ISMS) 표준
제정 및 개정 연도:
2013년 제정, 2017년 개정
정의 및 목적:
조직의 정보 보안 관리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적용 범위:
모든 규모와 산업의 조직에 적용 가능하며, 정보 보안 위험을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 및 구성:
정보 보안 정책, 위험 평가, 자산 관리, 접근 통제, 암호화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행 및 인증:
인증 기관을 통해 ISO/IEC 27001 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보 보안 관리 체계의 신뢰성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이칭(alias):
ISMS 표준
참고 정보:
ISO 공식 웹사이트, 정보 보안 관리 시스템 관련 서적 및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