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856-1936
개요:
권중면(1856년부터 1936년까지)은 조선 말기에 활동한 판사이자 문관이며 문인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19세기 후반 조선 말기에서 대한제국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충청북도 영동군을 중심으로 문학 활동을 펼쳤다.
사상 및 철학:
한국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유교적 가치관과 당대 현실을 시문에 담아내려 했다.
이칭:
치경 취음
참고정보:
구한말 사대부들의 편지 (책미래) 2015
생애:
권중면은 1856년에 태어나 조선 후기에서 대한제국을 거쳐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격변의 시기를 살아갔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뛰어나 과거에 급제하여 조선 왕조의 말기에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9세기에 접어들며 개화 사상이 퍼지자 그는 학문적 개화를 통해 국가의 발전을 꾀하고자 하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새로운 교육 제도의 도입과 근대 학교 설립에 주력하며 젊은 인재 양성에 헌신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 자주성을 보존하려 노력하였으며 그의 가르침을 받은 수많은 제자들이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그는 일생을 통해 교육자로서의 길을 걸으며 빛나는 업적을 남겼고 1936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산은 조선의 배움을 계승하고자 하는 후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업적:
유교적 가치관과 현실을 시문에 담아낸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