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875년–1942년
개요:
이준형은 1875년에 태어나 1942년에 사망한 교사이자 독립운동가였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에 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학문 연구와 교육 활동을 펼쳤다.
사상 및 철학:
교육을 통해 인재를 기르고 정치학 연구로 사회 개혁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칭:
이동고 동구 Donggu 李 이재섭 이중조 문극
참고정보:
(국역) 동구선생문집 (국무령이상룡기념사업회) 201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생애:
이준형은 1875년 조선 후기 경상도의 한 농촌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유교 경전을 배우며 자란 그는 근대 개화 사상에 영향받아 새로운 지식에 눈뜬다.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난 시대적 혼란 속에서 그는 유학을 떠나 일본에서 정치학을 공부하면서 급진적인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한국으로 돌아온 그는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자 압박에 굴하지 않고 교육 운동을 시작했다. 1920년대에는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며 독립신문을 발간 대중 계몽에 힘썼다. 1930년대 들어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자 지하조직에서 활동을 이어갔고 결국 1942년 일제의 검거망에 잡혀 옥중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그의 희생은 해방 후 대한민국 건국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의 이름은 민족 운동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대표업적:
안동을 중심으로 교육 활동과 독립운동에 기반을 둔 이준형의 활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