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392-1480
개요:
이맹전은 1392년에 태어나 1480년에 세상을 떠난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문관으로서 국가 행정에 기여한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전기 태종·세종 연간에 조정에서 벼슬하며 행정 제도를 정비하는 데 기여한 문신이다.
사상 및 철학:
성리학적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민본주의와 제도 혁신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추구하였다.
이칭:
정간경은李
참고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두산백과
생애:
이맹전은 조선 초기의 인물로 1392년 왕조의 개국과 함께 태어났다. 그는 한양의 중산층 집안에서 자라났으며 세종대왕 집권 시기의 강한 학문적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다. 유교 경전과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보인 그는 과거 시험에 뛰어난 성적으로 합격하여 관직에 올랐다. 조선 초기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 속에서 그는 왕조의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공직에 헌신했으며 정책 입안 과정에서의 통찰력으로 동시대인들에게 높이 평가받았다. 특히 세종대왕과 함께 한글 창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문맹 퇴치에 일익을 담당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그의 만년에는 후학 양성에 집중하며 산간 지역에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1480년 88세의 나이로 생을 마친 그의 삶은 조선 초기 교육과 정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로 남아 있다.
대표업적:
태조 세조 시대 조정 벼슬 문신으로 행정 제도 정비에 공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