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827–1898
개요:
조선 말기에 동학의 두 번째 교주로 활동하며 민중의 의식 개혁과 사회 변화를 이끈 종교 지도자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조선 후기 19세기 후반에 경주를 거점으로 활동하며 최초 교주 최제우의 순교 이후 박해 속에서도 동학 교단을 재건하고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데 힘썼다.
사상 및 철학:
인내천 사상을 중심으로 인간과 하늘의 합일을 강조하며 평등사회와 개혁을 지향한 동학 지도자였다.
이칭:
Choi Sihyeong 최경상 경오 Choei Sihyeong 해월
참고정보:
Who? 최제우·최시형 (다산어린이) 201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생애:
최시형은 1827년 조선 후기의 사회적 변동이 심화되던 시기에 태어났다. 그는 유년 시절부터 학문에 열의를 가졌으며 사회적 불평등과 부당함에 대한 문제의식을 키워갔다. 186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는 종교적 각성과 민중운동에 심취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최시형은 보편적 평등과 영육의 구원을 강조하는 새로운 사상체계에 매료되었으며 이는 그가 동학의 2세 교주로서 나아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동학의 교세 확장과 교리 체계화에 힘쓰며 민중들과의 깊은 교류를 이루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발발하자 그는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였으나 정치적 혼란과 외세의 간섭으로 인해 실패하였다. 그의 사상과 노력은 이후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는 1898년 생을 마감하기까지 계속해서 민중의 권익을 대변하고자 하였다.
대표업적:
조선 후기에서 동학의 두 번째 교주로 활동하면서 민중의 의식 개혁과 사회 변화를 주도한 인물로 손꼽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