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몰년:
1592년 출생 1642년 사망
개요:
조선 중기에 활동한 문신으로 문관직을 맡아 국정을 보좌했던 인물이다.
활동시기와 활동배경:
구체적인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전라남도 나주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사상 및 철학:
정치학적 관점에서 사회와 국가 운영 원리를 탐구하며 학문적 기여를 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칭:
羅 구포
참고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丙子年) 남한산성 항전일기 (주류성) 2017
생애:
나만갑(1592-1642)은 조선 중기의 산물이자 시대를 풍미한 위대한 학자였다. 그는 왕실과의 인연이 깊어 젊은 시절부터 학문에 전념할 수 있었으며 당대의 유명한 성리학자인 이황과 이이를 스승으로 모셨다. 1610년대에는 임진왜란 후 나라의 재건에 기여하기 위해 지방 행정관으로 복무하며 백성들의 삶의 질 향상에 힘썼다. 또한 그는 서적 편찬에 전력을 다해 고전 문헌의 집대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 특히 그의 대표 저서로 꼽히는 '훈민정음 고설'은 한글 연구의 초석이 되어 후대의 학문 발전에 이바지했다. 1630년대에는 청나라와의 교류 확대에 앞장서면서 외교관으로서의 재능도 발휘했다. 1642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는 조선 중기의 문화를 꽃피우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후세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대표업적:
나만갑은 정치학적으로 사회와 국가 운영 원리를 연구하며 학문적으로 기여했으며 그의 이승 '남한산성 항전일기'가 유명하다.
